1)
유형
*
젊은 세대보다 정보가 어두운 노년층을 상대로 건강기능식품에 불과한 제품을 만병통치약처럼 홍보
.
*
무료공연 및 사은품 등 다양한 미끼로 강매하는 전형적인
'
사기성 상술
'
2)
사례
대전에서 홀로된 노모를 모시고 사는
B
씨는 최근 어머니의 행동에 이상한 점을 발견하였다
.
어머니가
"
무료 홍보 행사에 다녀왔다
"
면서
,
치약세트나 행주세트 같은 소소한 생필품을 자랑삼아 꺼내 보였기 때문이다
.
B
씨는 아무리 홍보를 위한 것이라지만 무료로 공연을 보여주고 공짜 선물까지 준다는 게 의아하였다
.
하지만 늘 무료하고 적적해하던 어머니가 이런 일로 활력을 얻고 흐뭇해하는 것을 보고 더 이상 의심하지 않게 되었다
.
그런데 한 달 후
,
집에 사지도 않은 물건들이 하나 둘 배송되기 시작하였다
.
고가의 적외선 치료기에 전기 찜질기
,
옥매트 같은 것이
B
씨의 집에 배송된 것입니다
.
어머니는
"
무료공연을 보려면 집주소 등 인적사항을 적어야 한다기에 말해준 것뿐인데
…
"
라며 고개를 숙였다
.
그제야
B
씨는 의료기기 업체에서 무료 공연 공짜 사은품 등을 미끼로
,
고가의 건강관련 제품들을 강매한 사실을 알게 됩니다
.
게다가 배송된 제품의 가격이 시중가보다 무려
10
배 가까이 비싼 것을 보자
B
씨는 걱정이 태산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