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은 성적순이 아닙니다 2015-08-26 11:45:16 | Hit: 1102

[동네 한의학] 검진 수치에 집착하지 마세요


김형찬 다연한의원 원장2015.08.26 07:45:33

첨부이미지

"오늘 아침에도 혈당을 체크하셨어요?"

"네. 어젯밤에 늦게 밥 먹고 잤는데, 얼마나 높은지 걱정이 돼서요."

 


오실 때 마다 같은 질문과 비슷한 답을 반복하고 있는 이 환자는 몇 달 전 이상하게 피곤해서 병원에 갔다가, 혈당이 높다는 진단을 받고 약을 복용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본인이 약을 복용하지 않고 혈당을 조절하길 원해서 기본적인 생활 방식을 관리하고, 몸의 불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를 하고 있지요.

 


상담 과정에서 이 분이 당뇨 진단을 받은 이후 '당이 더 오르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에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아침 혈당을 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환자의 가장 큰 문제가 지나치게 많은 생각과 걱정, 그리고 불안인데 혈당이라는 스트레스가 더해진 셈입니다. 건강이 좋아지기는커녕, 혈당이 잘 조절될 리가 없지요.

 


그래서 일단 일주일에 한 번씩만 당을 체크해 보시라고 당부했습니다. 좋은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 당 수치가 급격히 나빠지는 일은 없을 거라고요. 매 순간 변화하는 몸의 상태에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면 오히려 없던 병도 생긴다고도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제 질문에 웃음으로 답하는 것을 보면, 아직 이 분의 불안은 현재 진행형인 듯합니다. 시간은 걸리겠지만 마음가짐을 바꿔야 건강에도 변화가 생기겠지요.

 


진료를 하다보면 검사 결과 나온 수치에 지나칠 정도로 예민한 분을 종종 보게 됩니다. 이런 수치는 늘 바뀌는 것이라고 말씀드리지만, 그럼에도 미세한 변화에 일희일비합니다. 내원할 때마다 혈압과 혈당을 재달라는 분도 있고(이런 환자의 대부분은 이미 고혈압약과 당뇨약을 복용 중에 있지요), 혈당이나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진단에 식단을 지나치게 제한해, 오히려 그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건강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나친 운동으로 몸에 피로가 쌓여 몸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관절에 이상이 생기기도 하지요.

 


물론 검사를 받았을 때 모든 수치가 정상 범위에 들어있으면 좋겠지요. 하지만 그것이 건강의 증거가 될 수 없고, 반대로 정상 범위를 조금 벗어났다고 해서 당장 중병에 걸리는 것 또한 아닙니다. 실제 장수촌으로 유명한 지역 사람의 통계 조사를 보면,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사람들의 검사 결과가 우리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수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요.

 


신속하게 수치를 떨어뜨려야만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수치 자체에 과민하게 반응하기보다 왜 이런 상황이 되었는지, 생활 습관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는 게 좋습니다. 왜냐하면, 검사 결과 수치는 우리 몸과 마음이 어떻게든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애쓴 흔적이기 때문입니다. 뭔가 문제가 있는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적응한 결과, 그와 같은 몸의 상태가 된 것이지요.

 


따라서 그런 상황을 바꾸고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면, 무리하지 않는 수준으로도 몸은 좋은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건강 관련 수치들은 자연스럽게 정상 범위에 가깝게 돌아올 것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이 부드럽게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고(실제 치료를 해보면 후퇴하거나 악화되는 시기가 있습니다), 일정한 수준의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의 복원력을 잃은 경우가 아니라면, 좋은 조건이 마련될 경우 우리 몸은 분명 스스로 건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시험을 치르고 성적표를 받습니다. 성적이 좋으면 기분이 좋고, 나쁘면 뭔가 뒤쳐진 것 같아 우울해 집니다. 건강검진표에 표시된 숫자들은 지금까지 내가 내 몸과 마음을 어떻게 다루었는가에 대한 하나의 표시입니다. 약은 다음 성적표의 숫자를 바꾸어 줄 수 있지만, 몸과 마음을 쓰는 습관을 바꾸어주지는 못합니다. 숫자에 과민하기 보다는 그 속내를 들여다 볼 수 있어야 진짜 좋은 건강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홍보팀 - 58.225.xxx.xxx
글쓰기 답변 수정 삭제 최신목록
정회원 이상만 코멘트 쓰기가 가능합니다.
-표시할 의견이 없습니다.-

1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총 게시물 51개 / 검색된 게시물: 51개
No     제목 작성자 조회 작성일
51 한국장례연합공사 상조피해 제보건 팀장 1615 2016-12-02
50 섬네일 칼로리·단백질 너무 적게 섭취하면 노인 사망위험↑ 팀장 1078 2016-11-28
49 섬네일 [전문가 칼럼] 여름철 질병의 응급 처치- 건국대학교병원 이경룡 교수 팀장 1272 2016-06-16
48 섬네일 비만보다 고독감이 노인 건강 해쳐 팀장 1197 2016-05-24
47 섬네일 황혼육아... 조부모를 위한 건강체크 포인트 팀장 1324 2016-04-29
46 섬네일 세월을 거꾸로...노화 늦추는 식품 5가지 팀장 1152 2016-01-04
45 섬네일 미처 알지 못했던 '유산소 운동'의 효과 팀장 1291 2015-12-14
44 섬네일 비타민D 조금만 부족해도 치매 위험 급상승 팀장 1214 2015-12-04
43 섬네일 건강칼럼- 노인 뇌전증 팀장 1474 2015-11-23
42 섬네일 "후각기능 저하, 노인성 치매의 위험 신호" 팀장 1244 2015-11-18
41 섬네일 농촌 비만노인 많아졌다"…농식품부, 식생활 개선 나서 팀장 1146 2015-10-01
40 섬네일 "건강한 노년 생활위해 환경유해물질 조심하세요" 팀장 1085 2015-09-21
39 섬네일 노인건강 비법 따로 없다 팀장 1253 2015-09-18
38 섬네일 달콤한 다크초콜릿이 노인건강에 좋은도움 팀장 1197 2015-09-10
37 섬네일 “골프, 노인 신체·정신건강에 도움…사회적 의료 비용 경감” 홍보팀 1803 2015-08-31
36 섬네일 건강은 성적순이 아닙니다 홍보팀 1103 2015-08-26
35 섬네일 고등어·마늘·양파 먹고 무릎관절염 예방 홍보팀 1328 2015-08-25
34 섬네일 [의학칼럼]노인성 척추 질환의 대표 - 척추관 협착증 홍보팀 1257 2015-08-12
33 섬네일 “노인에게서 갑자기 운전대 빼앗으면 건강↓” 홍보팀 1463 2015-08-10
32 섬네일 ‘100세 시대’ 건강하게!…행복한 노년의 비결? 홍보팀 1465 2015-08-07
글쓰기 최신목록
우편 검색
주소:

분류별 보기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 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
연관 상품으로 사용할 상품을 검색후 선택하세요.
상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