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 공화국③]고쳐지지 않는 장례식장 폭리…수의 한벌 수백만원 예사 2013-08-08 13:50:46 | Hit: 1094

[바가지 공화국③]고쳐지지 않는 장례식장 폭리…수의 한벌 수백만원 예사
기사등록 일시 : [2013-08-08 08:20:27]
유족들 경황없는 틈타 강매-끼워팔기 등 예사
관리감독 허술…시민들 피해만 계속 늘어

【서울=뉴시스】안호균 기자 = 가족이 사망하면 극진한 예를 갖춰 장례를 치르는 것이 한국 사회의 오랜 전통이다. 또 장례를 치르는 도중 돈 문제로 큰 소리를 내지 않는 것도 망자에 대한 예의로 여겨진다.

장례 시장은 이런 문화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연간 5조원이 넘는 규모로 성장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경황이 없는 유족을 노린 비뚫어진 상혼이 자리잡고 있다.

터무니 없이 높은 장의용품 가격, 물품 강매, 끼워팔기 등 슬픔에 빠진 유족들을 두번 울리는 업체들의 횡포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지만 쉽개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경기도 성남의 한 종합병원 장례식장에서 3일장으로 모친의 장례를 치른 조동현(52·회사원)씨는 장례식장에서 내민 영수증을 받고 깜짝 놀랐다. 장례식장 임대료는 150만원 정도로 예상한 수준이었지만 그 밖의 비용이 900만원을 훌쩍 넘었기 때문이다.

장의용품 구입비는 400만원을 넘겼다. 수의와 오동나무 목관 가격은 140만원과 70만원이었다. 더 낮은 가격의 제품도 있었지만 상을 치르느라 경황이 없었고 망자에 대한 도리가 아닌 것 같아 중간 정도 가격대를 선택한 것이었다.

조씨는 "가장 낮은 가격의 수의를 고르려고 하면 조금 더 좋은 수의가 있다고 권한다"며 "불효자 처럼 느껴질까봐 싼 것은 고르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게다가 책정된 가격을 의심할 수 밖에 없는 물품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관을 묻은 뒤 구덩이 위에 덮는 나무조각인 '횡대'는 25만원, 관을 묶을 때 쓰는 헝겁인 '결관포'는 10만원, 망자의 관직이나 성씨 등을 적은 '명정'은 8만원, 원가에 비해 너무 비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음식값도 예상한 수준을 뛰어넘었다. 국과 밥 만으로 구성된 한끼 식사의 가격은 7000~1만원. 게다가 반찬과 안주는 모두 따로 구입해야 했다. 음료수나 술 한 병의 가격도 2000~3000원으로 일반 소매점에 비해 두 배 가량 비쌌다.

수량이 제대로 계산됐는지도 의문이었다. 사흘간 조문객은 200여명이 왔지만 음식값은 식사와 음료수, 안주 등을 포함해 500만원이 들었다.

입관식 때 노잣돈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거나 수십만원 어치 생화를 장례식장에서 구입하게 하는 등 말로만 듣던 장례식장의 행태도 직접 경험했다.

조씨는 장례식장이 유족을 상대로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화가 치밀었다. 하지만 비용을 꼼꼼하게 따져보지 않은 자신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생각에 참을 수 밖에 없었다.

이처럼 장례를 치를 때 유족이 경황이 없다는 점을 노려 장례 비용을 청구하는 업체의 횡포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장례식장의 경우 수의는 20만~430만원, 목관은 18만150만원 정도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장례업계 관계자들은 이런 고가의 장례용품 원가는 판매가의 20~50% 정도에 불과하다고 설명한다.

또 장례식장이 특정 업체의 장의용품, 음식물, 장의차량 등을 무조건 사용하게 하거나 실제보다 장례 비용을 부풀리는 문제도 끊이지 않고 제기돼 왔다.

장례업계 관계자는 "장례식장들이 리베이트를 받고 납품업체나 장의차량 업체를 지정하는 관행 때문에 바가지 요금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며 "이 업체들에게도 일정 부분의 수익을 보장해 주다 보니 가격이 오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ahk@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사진 구매 : 콘텐츠 판매

감동복지 - 39.115.xxx.xxx
글쓰기 답변 수정 삭제 최신목록
정회원 이상만 코멘트 쓰기가 가능합니다.
-표시할 의견이 없습니다.-

1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총 게시물 357개 / 검색된 게시물: 357개
No     제목 작성자 조회 작성일
97 섬네일 웰컴 투 돈월드 44회(방영일 : 2013-10-05 PM9:45) 줄거리,관절염편 감동복지 1143 2013-10-05
96 섬네일 씁쓸한 '노인의 날'··"선거 없으면 찬밥 신세" 감동복지 970 2013-10-01
95 섬네일 "기초연금 정부안, 빈곤노인이 더 적게 받을수도" 감동복지 887 2013-09-30
94 섬네일 하위 70%에 국민연금 연계해 기초연금 차등지급 가닥 감동복지 831 2013-09-24
93 섬네일 독거노인 저소득노인 인공관절 수술… 한국노년 복지연합과 의료지원 MOU 감동복지 1018 2013-09-24
92 섬네일 朴대통령 '복지후퇴'시험대…대국민설득 주목 감동복지 851 2013-09-23
91 섬네일 겉과 속 다른 명절선물… '홀치기'와 '속박이' 감동복지 1080 2013-09-05
90 섬네일 [기고] 고령화 시대와 노인 복지 감동복지 969 2013-09-02
89 섬네일 [시민기자 일기] 진정한 노인 복지란? 감동복지 1066 2013-09-02
88 “홍보관·체험관 등 변형된 방문판매를 ‘특설판매’로 규정” 감동복지 1058 2013-08-17
87 불량식품 팔다 걸린 업체, 해당 판매금액 10배 추징 감동복지 820 2013-08-17
86 섬네일 [바가지 공화국③]고쳐지지 않는 장례식장 폭리…수의 한벌 수백만원 예사 감동복지 1095 2013-08-08
85 섬네일 사회복지법인 이사장 승려 성폭행 혐의 감동복지 1132 2013-08-07
84 섬네일 어르신들 홀리는 약장수 사기수법 - 웰컴 투 돈월드 감동복지 1173 2013-08-06
83 섬네일 공경 대상에서 사기 상대로… 노인 노린 범죄 기승 감동복지 1009 2013-07-31
82 섬네일 100세 시대가 가져온 신풍속 ‘부모의 경제 독립선언’ 감동복지 1110 2013-07-25
81 섬네일 고물상들 “문 닫으란 말이냐?” 24일부터 상업·주거지에서 영업 못해 감동복지 1027 2013-07-23
80 섬네일 기초연금 "현재 노인 위주로" vs "미래 노인에게도" 감동복지 1023 2013-07-18
79 섬네일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 박병학 반장..“음식 사기범들, 내 손 안에 있다” 감동복지 1504 2013-07-11
78 섬네일 [행복한 100세를 위하여] 재미있는 강의에 ‘노년 소통법’ 교육도.. 감동복지 957 2013-07-04
글쓰기 최신목록
우편 검색
주소:

분류별 보기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 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
연관 상품으로 사용할 상품을 검색후 선택하세요.
상품명: